haha100man 님의 블로그

교육 관련 이슈와 다양한 교육 관련 주제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 2025. 3. 30.

    by. haha100man

    목차

      21세기 교육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단순한 지식 전달자를 넘어,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돕고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듀이의 교육철학은 다시금 조명되고 있다. 특히, 교사의 전문성 개발반성적 실천(reflective practice)이라는 개념에서 듀이 철학은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듀이 교육철학이 말하는 진짜 교사의 조건: 반성적 실천과 전문성의 힘
      존 듀이 교육 교사의 전문성


      듀이의 교육철학: 교육은 경험의 재구성

      듀이(John Dewey)는 교육을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경험을 통한 성장과 변화의 과정으로 보았다. 그의 저서 『경험과 교육(Experience and Education, 1938)』에서 듀이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교육은 삶의 준비가 아니라 삶 그 자체이다.”

      듀이는 경험을 수동적인 수용이 아닌, 반성(reflection)을 통해 능동적으로 재구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즉, 교사는 단순한 지식 전달자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성찰하고 성장하는 실천가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 철학은 오늘날 교사의 전문성을 바라보는 관점과 매우 밀접하다.


      교사의 역할 변화와 전문성의 재정의

      과거에는 교사의 전문성이 경력, 자격증, 연수 이수 등의 형식적 기준으로 정의되었다. 그러나 이제는 실천 기반의 전문성(practice-based professionalism)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곧, 교사가 자신의 교육활동을 지속적으로 반성하고 재해석하며,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은 듀이의 반성적 사고 개념과 정확히 일치한다. 듀이는 『생각하는 방법(How We Think, 1910)』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반성적 사고는 믿음이나 지식의 근거와 결과를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그것을 명료히 하는 일련의 심사숙고 과정이다.”

      오늘날 교사가 수업 후 성찰일지를 쓰거나, 전문적 학습공동체(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LC)에서 동료와 수업을 분석하고 피드백을 주고받는 활동은 모두 듀이의 교육철학을 실천하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반성적 실천: 교사 성장의 핵심 메커니즘

      반성적 실천(reflective practice)이란, 단순한 실수를 되돌아보는 것이 아니라, 행동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지며, 보다 나은 실천 방향을 모색하는 과정이다. 이는 듀이가 강조한 비판적 사고력과 직결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질 수 있다.

      • “내 수업은 학생 중심의 경험을 충분히 제공했는가?”
      • “학생의 반응은 나의 의도와 일치했는가?”
      • “다음 수업에서는 어떤 전략을 바꿔야 할까?”

      이러한 질문은 단순한 반성이 아닌, 경험을 분석하고 미래의 실천을 준비하는 고차적 사고과정이다. 교육학자 도날드 쇤(Donald Schön)은 이를 ‘행위 중 반성(reflection-in-action)’과 ‘행위 후 반성(reflection-on-action)’으로 구분하며, 전문직의 핵심 역량이라고 강조한다.


      듀이 철학이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1. 경험 중심 수업 설계 촉진

      듀이 교육철학은 교사들이 학생의 삶과 연결된 경험 중심 수업을 기획하도록 유도한다. 이는 정형화된 지식 전달에서 벗어나, 문제 기반 학습(PBL), 프로젝트 학습(Project-based Learning) 등의 학습자 중심 수업 설계를 이끄는 철학적 기반이 된다.

      2. 교사의 자율성과 책임감 강화

      듀이는 교사를 단순한 행정 수행자가 아닌, 사회적 실천가(social practitioner)로 보았다. 이는 교사가 교육과정의 소비자가 아닌 공동 설계자(co-designer)가 되어야 한다는 의미다. 이런 관점은 오늘날 교육과정 재구성, 창의적 교수법 개발, 수업연구 활성화 등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3. 전문적 성장의 지속적 가능성 제시

      듀이의 철학은 교사 성장의 종착점이 없음을 전제한다. 교사는 연차가 쌓인다고 전문성이 완성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경험을 성찰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이 반복되어야 전문성이 심화된다. 이는 현재 교육부가 추진 중인 ‘교원 역량기반 성장 평가제’의 기초 철학과도 맞닿아 있다.


      실제 사례: 교육현장에서의 반성적 실천

      사례 1. 서울시교육청 – 수업 나눔 및 수업 컨설팅

      서울시교육청은 ‘성찰 중심의 수업 컨설팅’을 운영하며, 교사들이 서로의 수업을 분석하고 피드백하는 문화를 조성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도구는 수업 녹화 분석, 관찰 체크리스트, 수업일지 등이다. 이는 모두 듀이의 철학이 말하는 ‘경험의 반성’을 실천하는 구체적 방법이다.

      사례 2. 경기도교육청 –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경기도는 교사 간 수평적 전문성 공유를 위해 학교단위, 권역단위 PLC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여기에서 교사들은 수업을 나누고, 학생 반응을 분석하며, 다음 수업 설계에 반영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 역시 듀이가 강조한 ‘반성적 경험의 순환 구조’를 잘 보여준다.


      결론: 듀이의 철학은 살아있는 실천이다

      오늘날 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은 더 이상 외형적 자격에 머물지 않는다.
      교사의 전문성은 ‘반성적 실천’이라는 내면적 힘을 기반으로 형성되고 성장한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바로 듀이의 교육철학이 있다.

      듀이의 사상은 단순히 교육사 속 이론이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방향성을 제공하는 실천적 철학이다.
      우리는 지금도 교실에서, 연수실에서, 공동체 안에서 듀이 철학을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그 실천이 지속되는 한, 교사는 언제나 성장하고 변화하며, 진정한 전문성을 갖춘 교육자로 거듭날 수 있다.


      📚 참고 문헌 및 자료 출처

      • Dewey, J. (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 Dewey, J. (1910). How We Think.
      • 교육부(2022). 『교원 전문성 강화 및 연수 혁신 방안』
      • 서울시교육청(2023). 『수업 성찰 기반 수업 나눔 가이드북』
      • 경기도교육청(2022).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사례집』
      • Schön, D.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